카테고리 없음
연산자의 종류
깡출깡충
2024. 7. 5. 12:03
목차
- 산술 연산자
- 문자 결합 연산자
- 대입(복합대입)연산자
연산자
초등학교때 배웠던 +, -,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를 이용해서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여러 연산자가 있는데 산술, 문자결합, 대입(복합대입), 증감, 비교, 논리, 삼항, 조건 연산자가 있습니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사칙연산과 같습니다. +, -,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가 바로 산술 연산자 입니다.
산술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산 대상 데이터(=피연산자)가 반드시 두개 있어야 합니다.
산술 연산자 사용해보기(영상)
산술 연산자 입력 예시
var num1 = 15;
var num2 = 2;
var result;
// 더하기
result = num1 + num2;
console.log("num1 + num2 :", result);
// 빼기
result = num1 - num2;
console.log("result:", result);
// 곱하기
result = num1 * num2;
console.log("result :", result);
// 나누기
result = num1 / num2;
console.log("result :", result);
// num1을 num2로 나눈 나머지 값을 보여주기
result = num1 % num2;
console.log("result :", result);
("result :", result) 여기에 나와있는 : 은 보기 쉽게 하려고 그냥 입력한 것입니다.
문자 결합 연산자
문자 결합 연산자는 피연산자(연산 대상 데이터)가 문자형 데이터입니다.
여러 개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로 결합할 때 사용합니다. 기호는 +(더하기)를 사용합니다.
문자결합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문자형 데이터가 한개라도 포함되면 다른 피연산자의 데이터는 자동으로 문자로 변환되고 문자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하나의 문자형 데이터로 반환됩니다.
+ 연산기호는 앞에 있는 데이터 순서대로 더해집니다. 즉, 피연산자가 숫자가 여러개 있으면 숫자끼리 먼저 더해진 후 문자를 만나면 그 다음부터 문자 결합이 이루어 집니다.
문자 결합 연산자 사용해보기(영상)
문자 결합 연산자 입력 예시
var str1 = "안녕하세요.";
var str2 = "제 이름은";
var str3 = "김땡땡 입니다.";
var str4 = "전화번호는";
var str5 = 1234;
var str6 = "입니다.";
var result = str1 + str2 + str3 + str4 + str5 + str6;
console.log(result);
// '안녕하세요.제 이름은김땡땡 입니다.전화번호는1234입니다.'
// 두번째 예시
var str7 = "하이";
var num1 = 10;
var num2 = 20;
result = str7 + num1 + num2;
// 맨앞에 문자가 나오게 되면 그 뒤에 있는 아이들도 문자로 읽습니다.
result = num1 + num2 + str7 + str5 + num1;
// 앞에 숫자가 있고 뒤에 문자가 나오고 뒤에 있는 애들이 숫자가 나오면 무조건 문자로 읽습니다.
console.log(result);
대입(복합대입)연산자
대입 연산자(=)는 연산 된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오른쪽에 있는 값을 변수에 넣는다.' 라는 의미 입니다.
(기본형)
A = B
복합 대입 연산자는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가 복합적으로 적용 된 것을 말합니다.
(기본형)
1. A + =B => A = A + B (A는 A+B를 더한 값이다.)
2. A - =B => A = A - B (A는 A에서 B를 뺀 값이다.)
3. A * =B => A = A * B (A는 A와 B를 곱한 값이다.)
4. A / =B => A = A / B (A는 A에서 B를 나눈 값이다.)
5. A % =B => A = A % B (A는 A에서 B를 나눈 나머지 값이다.)
대입(복합대입)연산자 사용해보기(영상)
대입(복합대입)연산자 입력 예시
var num1 = 10;
var num2 = 3;
num1 += num2;
// 10 + 3 => num1 = 13;
num1 -= num2;
// 13 - 3 => num1 = 10;
num1 *= num2;
// 10 * 3 => num1 = 30;
num1 %= num2;
// 30 % 3 => num1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