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switch문
- 반복문
- while문
- do while문
- for문
switch문
선택문인 switch문은 변수에 저장된 값과 switch문에 있는 경우(case)의 값을 검사하여 변수와 경우의 값에서 일치하는 값이 있을 때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합니다.
if문과 용도는 비슷하지만 if문은 만족하는 데이터가 여러 개일 경우 주로 사용하고, switch문은 여러 경우의 값중에 일치하는 데이터를 찾아 코드를 실행할때 주로 사용합니다.
변수에 저장된 값은 switch문을 만나면 case의 값을 하나씩 검사합니다.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으면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실행하고 break(강제종료)문을 만나서 코드를 종료합니다.
만약 case값 중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default문을 실행하고 switch문을 종료합니다.
(기본형)
var 변수 = 초기값;
switch(변수){
case 값1 : 코드1;
break;
case 값2 : 코드2;
break;
case 값3 : 코드3;
break;
case 값4 : 코드4;
break;
default : 코드5;
}switch문 사용해보기
switch문 입력 예시
var site = prompt( "네이버, 다음, 구글, 네이트 중 \ 즐겨 사용하는 포털사이트는?" ); var url; switch (site) { case "구글": url = "www.google.com"; break; case "네이버": url = "www.naver.com"; break; case "다음": url = "www.daum.com"; break; case "네이트": url = "www.nate.com"; default: alert("보기 중에 없는 사이트 입니다."); } if (url) location.href = "https://" + url; // \(역슬레쉬) 하나만 입력하면 줄바꿈 기능이 있습니다. // \'(역슬래쉬) 옆에 기호가 붙으면 문자로 인식합니다.
반복문
반복문을 이용하면 코드를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하여 실행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라는 문구를 100회 출력하려면 출력문을 100번 작성해야 하지만 반복문을 이용하면 1줄만으로도 문장을 100회 출력할 수 있습니다. 반복문에는 while문, do while문, for문이 있습니다.while문
while문은 조건식을 만족할때까지 코드를 여러 번 반복 실행합니다.
while문은 조건식을 만족할때까지 {...}안의 코드를 실행시키는데,
while문의 실행 순서는
1.조건식을 검사하고 만족하면
2. 중괄호 안에 있는 코드와 증감식을 실행하고
3. 다시 조건식을 검사합니다. 그리고 만족하면
2. 중괄호 안에 있는 코드와 증감식을 실행합니다.
(기본형)
var 변수 = 초깃값;
while(1,3조건식){
2
자바스크립트 코드;
증감식;
}while문 사용해보기
while문 입력 예시
var i = 1; while (i <= 10) { document.write("0" + i, "<br/>"); i++; }
do while문
while문의 경우 조건식의 만족여부를 먼저 검사한 후 중괄호에 있는 코드의 실행 여부를 결정합니다.
do while문은 반드시 한번은 코드를 실행한 후에 조건식을 검사합니다.
(기본값)
var 변수 = 초깃값;
do {
자바스크립트 코드;
증감식;
}while(조건식)
알림 . do while문은 많이 사용하진 않아서 영상을 촬영하지 않았습니다!
for문★(중요)
for문도 while문과 마찬가지로 조건식을 만족할때까지 코드를 반복 실행합니다.
사용 방법은 while문과 동일하지만 문법이 더 간단해서 for문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기본형)
for(초깃값; 조건식; 증감식){
자바스크립트 코드;
}
실행순서 : 초깃값 -> 조건식 검사-> 자바스크립트코드 실행 -> 증감식
-> 조건식 검사 -> 자바스크립트코드 실행 -> 증감식....for문★ 사용해보기
for문★ 입력 예시
// 0~9까지 반복 = 총 10번 반복 for (var i = 0; i < 10; i++) { document.write(i + 1, "<br/>"); } document.write("-----------------", "<br/>"); for (var i = 0; i < 9; i++) { document.write(i + 2, "<br/>"); } // for문을 이용해서 1부터 100까지의 숫자 중에 // 5의 배수 일 경우 빨간색, 7의 배수일 경우 초록색, // 5의 배수이면서 7의 배수일 경우 파란색 for (var i = 1; i <= 100; i++) { if (i % 5 == 0 && i % 7 != 0) { document.write('<p class = "red">' + i + "</p>", "<br/>"); } else if (i % 7 == 0 && i % 5 != 0) { document.write('<p class = "green">' + i + "</p>", "<br/>"); } else if (i % 5 == 0 && i % 7 == 0) document.write('<p class = "blue">' + i + "</p>", "<br/>"); }